목록전체 글 (24)
대왕휴지의 개발 공부

언젠가 나타난 이 오류.. library\packagecache\cohttp://m.unity.jobs@0.2.10-preview.13\unity.jobs\ijobparallelfordefer.cs(73,85): error cs8377: the type 'u' must be a non-nullable value type, along with all fields at any level of nesting, in order to use it as parameter 't' in the generic type or method 'nativelist' 해결법 1. Edit > project setting > PackageManager Show Dependencies => 체크 2. window > Package ..

문제의 영상 휴머노이드 애니메이션을 넣으면 플레이어가 Y축으로 (위로) 붕뜨는 현상이 발생했다. 이 공중부양은 코드의 문제는 아니였다. 해결방법은 이러하다 - 플레이어 오브젝트의 Animator Component - Apply Root Motion 에 체크가 되어있는지 확인 만약 True 로 체크가 되어있다면, false 로 체크 해제한다. - 그럼 해결 완료~

어느 순간 부터 저런 파란 밑줄 (제안)이 계속 뜨면서 거슬리게했다. [없애는법] 탐색기의 빈 공간에 마우스를 두고 우클릭 m_Portfolio.sln 아래쪽 빈칸에 마우스를 뒀다. 그럼 [새파일..] 을 눌러서 새파일을 만들어준다. 파일명 .editorconfig 내용 [*.{cs,vb}] dotnet_analyzer_diagnostic.category-Style.severity = none dotnet_analyzer_diagnostic.category-CodeQuality.severity = none 그리고 저장하고 vsCode를 껐다가 키면 이제 파란 밑줄 안나옴.

C# 세부 정보 잘 읽어보기 갑자기 안되서 새로 세팅했는데, 연동이 안되서 계속 찾아보니 이녀석 때문이였음. Set omnisharp.useModernNet to false and set dotnet.server.useOmnisharp to true 세팅에서 omnisharp.useModernNet 를 false로 바꾸기. dotnet.server.useOmnisharp를 true로 바꾸기 그러니깐 됐다. 만약 여기서 [stderr] could not locate msbuild instance to register with omnisharp. 오류가 뜬다면?? vsCode말고 일반 vs20XX가 깔려있는지 확인 나는 2022를 깔고 해결됐다.. 닷넷 관련된건 다 선택한듯.